2022. 8. 22. 13:46ㆍ카테고리 없음
중국 중세기의 배
중국 중세기의 배 일반 배치는 선수부는 2층, 선미부는 3층 갑판으로 하여 거주실로 충당되고 선체 밑은 13개의 완전한 횡격 벽으로 구획되어 선창 등으로 쓰이며, 선미에는 반고 정타가 달려 있고 돛대는 3개이다. 또한 이 배의 선형은 선저가 첨예하고 선수와 선미 부분이 심한 현호를 이루고 있으며 방형 계수는 매우 적어서 날씬한 모습으로 충분히 대양을 항행할 만한 능파 성을 엿보이고 있다. 이 배의 구조는 어엿한 방형 용골과 예장 나무로 된 선수재와 선미재를 가지고 있고, 선저판은 삼과 버드나무를 써서 2중으로, 그리고 현측외판도 삼과 버드나무를 3중으로 철정을 써서 결착하고, 격벽판은 삼, 예장 나무, 송을 혼용하고 있는 등 선체 전부가 이를 데 없이 견고하고 치밀하게 되어 있다.
전장이 34.55m (113.3피트)이고 적재량이 200톤 3,600석, 배수량이 374톤이라면 상당히 큰 배다. 13세기 서양에서의 대표적인 배는 코 그 선이고 그 크기는 전장이 100피트도 못되고 적재량도 130톤 정도라는 것을 앞에서 보아온 바 있고 15세기 말엽 지리 탐험에 쓰인 항양 선도 가껏 2·300톤 정도의 배가 큰 것이었다. 그러나 이 배가 당대 중국에서 가장 큰 배라고는 할 수 없다. 고려에 사신으로 내왕한 송나라의 서긍이 저술한 『고려도경』에 객주와 신주가 있고 객주는 길이 10여 장, 2,000석을 실을 수 있고, 황제의 명에 따라 만든 신주는 그 크기가 객주의 3배가량 된다고 했다.
이 천주만의 해선은 객주보다는 약간 크지만 신주만 하지는 못하고, 또 쿠와하라의 소설로 보더라도 더 큰 배가 있었을 것이 분명하다. 송대에는 관영선으로 세곡을 운반하는 조운선인 유강선, 관원 객선인 좌선 이것이 바로 서긍이 말하는 객주일 것임, 전선, 군사를 나르는 운 병선인 마선 등도 있었다. 외판의 이중, 삼중 구조는 조선 사상 보기 드문 구조방식이다. 그것은 로마시대의 배에서 일부 나타나고 , 16세기 초 영국 군선에 쓰인 예를 찾아볼 수 있으며 , 근년에 목제 고속정 같은 데서나 채택되고 있는 정치한 구조방식이다. 12·13세기 송대에 이 같은 구조법이 널리 쓰인 것이 이 배로 보거나 쿠와하라의 소론으로 확실한데 참으로 놀라운 일이다.
이 천주만의 배는 그 선형도 요즘의 정밀한 목선에 뒤지지 않을 만큼 훌륭하다. 그 단면을 보면 선체의 곡면이 자재로 활용되고 있는데 이것은 고대의 목선에서 좀처럼 찾아보기 힘든 것이다. 지금까지 보아온 여러 시대의 배의 단면은 대개는 단순한 곡면으로 선체가 만들어져 있고 17·18세기에 이르러서야 복잡한 곡면도 마음대로 시공할 수 있게 된다.
의 범장은 하나도 남아있는 것이 없었지만 선 저에 박혀있는 범주 기재 등으로 보아 마스트가 3개 아니면 4개 정도의 배로 추정되고 있어 이것은 당대의 우수한 조선술과 항해술을 말해 주는 것이다. 유럽 여러 나라에서 마스트가 3개인 3본 마스트선을 마음대로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은 겨우 15세기 후기에 들어서이고, 12·13세기에는 코그선에 나타나 있는 것처럼 사 각단 범으로 계절풍 같은 순풍을 이용하여 겨우 대양을 항해할 수 있었다.
이 배 또한 이 배는 3~26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선수 선 미루가 선체와 일체로 만들어져 있는데, 유럽에서는 이와 같은 구조방식이 15·16세기에 비로소 보편화되고 13세기경에는 코 그 선에 나타나 있는 것처럼 선수 선 미루가 엉성하기 그지없었다. 이와 같이 중국 중세기의 배는 그 크기, 구조방식, 선형, 범장 등 모든 면에서 당대의 서양 선보다도 훨씬 앞서는 것이다. 유럽 여러 나라가 15세기 말기 지리 발견 시대에 가서야 비로소 이만한 배를 겨우 만들 수 있었다고 본다면 송나라 시대의 중국 조선술은 서양보다 적어도 200년가량은 앞섰던 것으로 보아 틀림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