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6)
-
각국 군용범선의 종류와 함포의 발전
각국 군용범선의 종류 군선의 모양과 성능은 나라마다 각기 독자적인 특징을 약간씩 지니고 있었다. 17세기의 영국, 프랑스의 군함을 비교해 보면 포의 수와 배치에 있어서 분명한 차이가 있었다. 영국은 되도록 포의 수를 늘이고 3층으로 배열하는데 대하여 프랑스는 포를 적당한 수로 제한해서 2층으로 배열했다. 앞면의 두 도표에도 여실히 나타나 있듯이 기함 구실을 해야 하는 1급함은 예외로 하고 2급함의 경우에 영국군함은 포 90분 정도를 3층으로 배치하는데 대하여 프랑스 군함은 70분 정도를 2층으로 두는 것이 보통이었다. 3급, 4급, 5급함에 있어서도 그와 같은 경향이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 얼핏 생각하기에 영국선 이 우월한 것 같지만 그렇지가 않았다. 프랑스 군함은 속력이 빠르고 폭이 넓으므로 활동이 편..
2022.08.27 -
17세기 군용범선의 등장
군용 범선의 등장 16세기까지 유럽에서 군함과 상선은 그 구분이 명확하지 않고 순전히 군함이라 할만한 범선은 그 수가 극히 적었다. 1588년 에스파냐와 영국 간의 대결에서도 완전한 군선이라고 할 갈레온 선은 양쪽 것을 합하여 58척뿐이고, 상선을 개조하여 임시로 무장한 배가 오히려 많았다. 그 뒤 17세기에 들어서 군선과 상선은 구별되기 시작하나서 군용 범선이 등장하였으며 수는 급격히 늘어났다. 영국의 경우를 보면 16세기 말 엘리자베스 여왕 말기에 군함은 고작 30~40척이던 것이 그 후 군용 범선은 점차로 늘어나 1660년에는 229척, 1714년에는 274척으로 되고, 1756~63년간에는 423척, 1810년경에는 625척을 헤아리게 되었다. 이것은 그간에 영국의 국세가 그만큼 신장된 때문이라고..
2022.08.26 -
15세기 유럽배의 발전과 갈레온선
15세기 유럽 배의 발전 15세기 유럽은 경제와 문화가 발달하여 15,16세기의 유럽은 십자군 원정과 르네상스를 통하여 암흑에서 깨어나 상공업과 무역이 일어나고 경제와 문화가 향상 발전하는 등 활기에 넘쳐 있었다. 새로운 천지를 탐색하여 재화와 상품을 획득해 보려는 열기도 대단했다. 특히 인도, 중국 등 동양의 여러 나라에 대한 호기심은 항해 열을 부채질했다. 과학기술의 발달도 선박의 대양 항해에 크게 이바지했다. 이처럼 여러 상황들에 의해 15세기 유럽 배는 발전하고 있었다. 고대의 항해는 지형, 별, 풍향 등 경험에만 의존하고 항해 기구는 고작 수심을 재기 위해 연추에 줄을 달아 놓은 측심기 정도였다. 그런데 13세기 중엽에 아라비아 상인들이 일찍이 중국에서 발명된 지남철을 지중해에 전파하고 14세기..
2022.08.25 -
캐라벨선과 캐랙선
캐라벨선과 캐랙선 지난 글에서 3본 마스트선에 대한 소개와 종류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번 글에선 캐라벨선과 캐랙선은 무엇이며, 어떻게 발전해 갔는지 알아보겠다. 캐라벨선과 캐랙선은 대항해 시대를 열었던 선박이다. 1. 캐라벨선 캐라벨은 포르투갈에서 개발된 3본 마스트선이다. 그러나 그것은 삼각 범만을 쓰는 배다. 카라벨은 13세기부터 어업 같은 데에 쓰여 오다가 차차 연안 항해선으로 커지고, 15세기에 들어서는 엔리케 왕자의 아프리카 서해안 탐험 같은 데도 쓰이기에 이르렀다. 카라벨은 횡범을 주로 쓰는 캐랙선보다도 선저가 평탄하고 배의 폭이 좁으며 물에 잠기는 홀수가 작고 속력도 빨라서 연안 항해에는 아주 적합한 배이다. 콜럼버스도 캐라벨을 아주 좋아해서 그가 아메리카 탐험ㅎ에 나설 때도 한척의 캐랙 산..
2022.08.24 -
3본 마스트선
3본 마스트선 15·16 세기를 ‘3본 마스트선 시대’라고 한다. 전세기까지 주로 마스트가 한 개인 1 본장선을 쓰던 것이 이 시기에 마스트가 세 개인 3본 마스트선을 널리 쓰게 된 때문이다. 또한 이 시대를 캐랙선 시대라고도 한다. 퍼어 마스트와 메인 마스트에 횡 범장 치를 하고 뒤에 있는 미즌 마스트에 종범 장치를 한 3본 마스트 선인 캐랙선이 가장 널리 보급되고 지리 탐험에도 쓰였다. 그럼 지금부터 3본 마스트선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자. 1) 북해선과 지중해선 13·14세기에 북해 연안 여러 나라에서는 코 그 선이 주로 쓰이고 지중해에서는 라운드 상선이 쓰였다. 이들은 각각 지역적인 특성을 살려 개별적으로 발전된 것이므로 여러 면에서 특성이 달랐다. 특히 북해선과 지중해선의 범장은 근본적으로 상이했..
2022.08.23 -
중국의 중세기의 배
중국 중세기의 배 중국 중세기의 배 일반 배치는 선수부는 2층, 선미부는 3층 갑판으로 하여 거주실로 충당되고 선체 밑은 13개의 완전한 횡격 벽으로 구획되어 선창 등으로 쓰이며, 선미에는 반고 정타가 달려 있고 돛대는 3개이다. 또한 이 배의 선형은 선저가 첨예하고 선수와 선미 부분이 심한 현호를 이루고 있으며 방형 계수는 매우 적어서 날씬한 모습으로 충분히 대양을 항행할 만한 능파 성을 엿보이고 있다. 이 배의 구조는 어엿한 방형 용골과 예장 나무로 된 선수재와 선미재를 가지고 있고, 선저판은 삼과 버드나무를 써서 2중으로, 그리고 현측외판도 삼과 버드나무를 3중으로 철정을 써서 결착하고, 격벽판은 삼, 예장 나무, 송을 혼용하고 있는 등 선체 전부가 이를 데 없이 견고하고 치밀하게 되어 있다. 전장..
2022.08.22